|
|
|
|
|
우리나라의 재배는 주로 노지재배이며 앞으로 하우스 조숙재배 나
턴넬형 조기재배가 도입되어 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노지재배는 4월 중 하순에 정식한 후 8월말에 낙수하고 9월부터 수확에 들어가서
이듬해 3월 말 까지 수확하는 재배작형이며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재배 형태이다. |
|
|
|
|
|
(1) 노지 재배 |
|
|
항목 |
4월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 |
2 |
3 |
4 |
5 |
작형 |
○●●----------------------//////////////////////////////////////////////// |
주 요 작 업 명 |
기 비 시 용 |
정 식 |
병 충 해 방 제 |
추 비 · 방 제 ① |
- |
추 비 · 방 제 ② |
추 비 · 방 제 ③ |
낙
수 |
수 확 시 작 |
- |
- |
- |
- |
- |
- |
수 확 종 료 |
- | |
|
|
|
|
|
가) 포장정리 |
|
|
물을 가두어 재배해야하므로 평평하게
로타리 작업을 하여 높고 낮은 곳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가을에 경운 로타리 후 월동하고 봄에 다시 한번 고르는 작업이 필요하다.
너무 심경이 되면 연근이 깊게 형성되므로 수확을 고려 깊이를 조절하여야 한다. |
|
|
|
|
|
나) 정식 |
|
|
○ 정식방법 정식방법은 수확하면서 종근을 새로 심는 방법과 일정부분을 남겨두어 종근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종근을 새로 심을 경우는 가을부터 침수상태로 두거나 써레질을 한 후 침수상태로 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퇴비와 기비 시용 후 다시 정지작업을 하는 것이 병해충예방에 도움을 준다. 정식 시기는 4-5월 만상의 시기가 지난 후 정식하며 |
|
| |
|
|
심는 방법은 주의가 필요한데
구덩이를15cm 깊이로 파고 종근(3-4마디 연결 종근)을 30-45。 각도로 비스듬히 끝 쪽을 땅속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반대쪽을 수면 쪽으로 향하게 하여 수면 위로 약간 나오게 하여 심는다. 이때 너무 깊게 심으면 발아기간이 오래 걸리고 너무 얕게
심으면 뿌리의 활착이 불량하여 물위에 떠오르거나 뿌리의 발달이 부진해진다. 이때의 담수깊이는 15cm 전후로 하고 지면을
평평하도록 충분한 써레질 후 정식한다. |
|
|
|
|
|
○ 재식거리 재식거리는 휴간
270-300cm, 주간거리 100-120cm가 일반적이나 밀식재배의 경우는 200 × 80-100cm로 심기도 한다. 일정한
방향과 거리는 수확 시 일정한 곳에서 수확이 가능하므로 수확노력을 줄일 수 있고 수확 시 상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재식밀도는
품종과 재배방법, 토양조건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조숙재배나 하우스재배 조생종재배, 척박지의 경우 밀식하고 만생종 재배 시,
비옥지에는 넓게 심는다. 수확 할 때 종자용 종근을 남겨두고 재배하는 방법도 있는데 대부분 100cm 폭은 수확하지 않고 그냥 두어 이듬해 종근으로 쓰는 방법인데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정식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
|
|
|
|
|
○ 씨연근(種根) 씨연근은
마디가 2-3마디 정도로 병해나 상처가 없고 굵으며 끝눈이 충실한 것을 씨연근으로 쓴다. 1개의 크기는 1kg 정도 좋으며 너무
작으면 초기 생육이 불량하고 너무 크면 씨연근의 소요량이 많다. 일반적으로 300-450kg/10a 정도 소요된다. 10a당
하우스나 조기재배 조숙품종은 350kg, 만생종은 450kg 씨연근을 남기고 수확하는 경우는 씨연근의 확 |
|
|
< 종근 남기고 수확방법> | | |
|
|
보가 필요 없으나 식재 시는 가을 수확시 남겨두었다가 심기
10일전쯤 채취하여 정식한다.특히 씨연근이 수확 시는 겨울 눈이 많이 자란 상태이므로 주의를 하여야하고 수확 후에는 저장 시는
10-12℃로 얼거나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고 땅속에 묻어두거나 젖은 거적 등으로 덮어 건조를 막아야 한다. 하우스 내 등
기온이 너무 높으면 생장하므로 고온에도 주의를 요한다. |
|
|
|
|
|
[재식거리에 따른 씨연근의 소요량 (1kg/개 기준)] |
|
|
재식거리(cm) |
270×80 |
300×80 |
330×80 |
300×100 |
350×100 |
씨연근소요량 (kg/10a) |
460 |
420 |
380 |
330 |
290 | |
|
|
|
|
|
다) 시비 |
|
|
연재배에는 비교적 많은 비료를 요구하므로 충분한 퇴비의 시용과
질소 성분량으로 10a당 질소 40kg, 인산 34kg, 칼리 34kg(일본) 정도 시용하고 충분한량의 석회(200kg/4년)를
시용한다. 그러나 토양의 비옥도나 전년도 시비량 등을 감안하여 생육상태를 보아가며 시비한다. 퇴비와 석회 인산질 비료는 모두
기비로 쓰고 질소와 칼리비료는 2-3회 추비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추비는 2-3회 나누어주는데 1차는 정식 후 25-30일에 (입엽
1매 시) 추비량의 2/3를 주며 2차는 1차후 15-20일후 제3입 엽이 나오는 때에 주는데 질소와 가리 또는 인산비료(과린산
석회)도 주어 근의 비대를 돕는다. 사양토의 경우는 3차 추비까지 주는 것도 좋으며 3차 추비를 줄 경우는 2차 추비 후
15일-20일 쯤 준다. 추비 시용 시 연잎에 닫지 않도록 하고 뿌리에 상처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수량에는 질소질
비료의 영향이 매우 크므로 돈분, 우분, 계분 등을 기비로 충분히 시용한다. 퇴비는 3000kg/10a 수준에서 가감한다. |
|
|
|
|
|
[시비기준(예) kg/10a] |
|
|
비 종 |
총 량 |
기 비 |
추 비 |
정지 전 |
정지 시 |
1차 |
2차 |
3차 |
두 엄 |
3,000 |
- |
- |
- |
- |
- |
석회질소 |
54 |
54 |
- |
- |
- |
- |
용과린 |
100 |
- |
25 |
25 |
50 |
- |
염화가리 |
40 |
- |
6 |
14 |
20 |
- |
요 소 |
49 |
- |
- |
8 |
17 |
24 |
계 분 |
188 |
- |
- |
94 |
94 |
- |
시 비 시 기 |
3월상 |
3월중 |
5월상 |
6월상 |
7월상 | |
|
|
[시비예 kg/10a] |
|
|
구 분 |
비 종 |
수 량 |
질소성분량 |
인산성분량 |
칼리성분량 |
농가Ⅰ |
기비 21-17-17 |
140 |
42 |
34 |
34 |
추비 21-17-17 |
60 |
농가Ⅱ |
기비 11-9-8 염화가리 |
220 15 |
40 |
33 |
40 |
추비 21-17-17 |
80 |
농가Ⅲ |
18-12-13 |
200 |
36 |
24 |
26 | |
|
|
|
|
|
라) 물관리 |
|
|
연에 있어서 생육시기에 따른 물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생장과 수량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씨연근을 심은 직후에는 낮에는 4-7cm로 얕게 하여 주간에 지온과 수온을 높여주고 밤에는 10cm이상 깊게
하여 보온 해준다. 부엽 생장기에는 6-7cm 깊이로 유지하다가 입엽이 올라오기 시작하면 10cm 정도 깊게 물을 대주고 마르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한다. 왕성한 생장기에는 물을 15cm정도 깊게 대어 지온이 너무 높지 않도록 하고 천천히 물이
흐르도록 하여 지하부에 산소도 공급하고 고온의 피해를 줄여야 한다. 물의 깊이에 따라 연근의 생장 깊이가 변화하므로 후반기에는
얕게 대어 연근이 깊게 자리 잡도록 해야 충실한 연근이 생산되나 너무 깊게 자리 잡으면 수확 시 어려움이 있으므로 3-7cm
깊이로 한다. 장마나 태풍시 침수 피해가 없도록 특히 유의하고 태풍 통과가 예상되면 물을 깊게 대어 쓰러짐을 방지해 준다. |
|
|
|
|
|
마) 제초작업 |
|
|
|
< 이끼 와 개구리밥 피해> | |
|
제초작업은 힘든 작업 중의 하나인데 생육초기에는 제초와 이끼, 개구리밥 등의 피해가 크며
생육중기에는 잡초와의 경쟁에서 큰 문제가 없다. 생육초기 이끼나 개구리밥 등이 번식되면 수온도 낮아지고 영양분 경쟁도 심하여
조기에 제거하여야 한다. 제거 시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조심하여야한다. 대구지방에서는 제초제를 정식 직후에 뿌려서 제초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안정성은 검토 된 바가 없다. | |
|
|
|
|
|
바) 병충해 방제 |
|
|
|
|
|
○ 부패병 입이 초기에
담갈색으로 되었다가 잎이 안으로 말리면서 마르는 병으로 연근이 자주빛을 띄다 썩는 병으로 연작지, 건조시 발생이 심하고 수량에
많은 피해를 준다. 사질토와 철분다량함유 토양에서 많이 발생한다. 방제는 정식전 석회질소를 10a 당 40kg정도 살포하여 기비 겸
살균제로 활용하고 이병되지 않은 씨연근을 사용하며 담수하여 겨울을 나거나 상처난 잎이나 줄기를 조기에 수거하여 태워야 한다.
약제는 5월 상순 캡탄 등 살균제를 살포한다. | |
|
|
|
|
|
○ 갈반병 6월 중순에 많이
발생하며 주로 잎에 발생하나 엽병 꽃에도 발생된다. 6월 상순에 살균제나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한다. 수혹 후 남아있는 잎이나 줄기
등을 모아서 태우고 주변을 깨끗이 한다. 고온 다습하면 많이 발생하므로 우기에 접어들면 20일 간격으로 살균제를 살포한다.
○ 밤나방 (야도충) 부
엽이 나오는 시기에 나와 입엽 때부터 가해하기 시작하여 그 피해가 크다. 방제법은 월동기에 석회질소 10a당 40-60kg 시용 후
경운하여 동사 시키거나 담수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고 포장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여 나방의 비래를 줄인다. 그밖에도 병으로는
탄저병, 잎마름병, 충으로는 진딧물 등이 있다. |
|
|
|
|
|
사) 기타관리 |
|
|
연은 연작의 피해가 비교적 적으나 연작하면 병해충의 발생이 심하고 수량이 감소되므로 2년 1주기로 벼와 윤작을 하는 것이 유리하고 담수재배기간이 많으므로 물고기의 양식도 병행하는 연구가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밖에 생육초기 지하경의 생장방향을 유인하는 작업을 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생장을 유도하여 수광상태를 좋게 하고 수확노력을 줄이는
작업이 필요하며 입엽이 생장하면 부엽은 제거하여 광선이 수면에 많이 접촉하도록 하고 꽃봉오리는 따되 화경을 자르지 않고 구부려
두어 양분의 손실을 줄이되 화경을 자르게 되면 지하부가 부패할 우려가 심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
|
|
|
|
|
아) 수확 저장 |
|
|
중국에서는 미숙 된 상태로 수확하는 경우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잎이 완전히 변색되어 고사될 때 수확하는데 이때에는 연근에 전분함량이 증가되어 요리용으로 쓰이나 미숙상태의 연은 당이 많아
생식용으로 먹기에 좋다. 지엽은 굵고 크며 주름이 없는 잎자루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엽을 찾고 지엽 정단부 방향으로 연근이 있으므로
눈과 몸통이 상처를 입지 않도록 정성들여 수확한다. 포장의 물관리는 수확 1개월 전에 단수하여야 연근의 발육에도 좋다.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수확이 가능하며 겨울에는 비닐을 덮어 땅이 어는 것을 방지하고 수확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
|
|
|
|
|
(2) 하우스 및 조기재배 |
|
|
조기재배 시에는 조생품종을 선택하고
밀식하며 시설 내 온도 및 물관리에 특히 주의를 하여야 한다. 하우스나 터널 재배 시 맑은 날은 특히 온도 조절에 노력하여야
하는데 30℃가 넘지 않도록 한기에 유의하고 35℃가 넘어가면 수분증발량과 흡수량의 불균형으로 시들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세력이
급격히 약해지고 각종 병해충에 쉽게 감염된다. 기타의 재배관리는 노지재배에 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