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카와 디카의 세상구경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식물 자료/식물 이야기

풍접초(족두리꽃) 나비꽃 은 ~

한아름정원 2021. 9. 16. 23:37

 

 

 

 

 

 

 

 

 

 

 

풍접초(족두리꽃)은
열대아메리카 원산지로 풍접초과의 꽃이 핀 모양이 나비가 바람에 날리는 것 같다고 해서 이런 공식 이름이 붙었으나

 

풍접도(족두리꽃) 꽃말 : 시기와 질투, 불안정

파종시기: 실내: 3월경

실외: 4~6월경

 

우리 전통 혼례에서 새색씨가 머리에 쓰는 족두리를 닮아 족두리꽃으로 더 널리 불리고 있습니다.

이 꽃을 자세히 뜯어보면 하얀 꽃잎에 긴 수술이 길다란 더듬이를 가진 하얀 나비를 연상할 수도 있지만 족두리꽃이라는 이름이 훨씬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북한에서도 나비꽃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풍접초는 줄기가 곧게 서서 1m 내외까지 자라고 잎은 손바닥을 펼친 모양입니다. 줄기에는 털과 자그만 가시가 나있습니다.

풍접초는 7~9월에 피는 꽃이 아주 특이합니다.

 

풍접도(족두리꽃) 꽃말 : 시기와 질투, 불안정

파종시기: 실내: 3월경

실외: 4~6월경


원줄기 끝 부분에서 여러개의 꽃대가 나와 꽃이 달리는데 4개의 꽃잎이 각각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고 4개의 수술이 꽃잎의 2~3배 길이로 뻗어 있어 장식이 많이 달린 왕관을 연상케 합니다.

그래서 이 꽃을 왕관꽃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서양에서는 수술이 거미줄 같다고 해서 거미꽃(spider flower)이라고 하며 학명에 따른 이름은 클레오메(cleome)입니다.

꽃의 색깔은 붉은색, 보라색, 흰색 등입니다. 열매는 긴 꼬투리로 아래로 늘어져서 달립니다.

풍접도(족두리꽃) 꽃말 : 시기와 질투, 불안정

파종시기: 실내: 3월경

실외: 4~6월경

 


풍접초는 꽃이 특이하고 관리가 어렵지 않으며 개화기간도 길어 백두대간수목원, 올림픽공원 등 주요 공원이나 관광지의 화단에 집단으로 심어져 있습니다.

가정의 화단에서도 많이 키우는 식물입니다. 씨앗이 많이 생겨 한번 심으면 매해 자라고 야생화 된 개체들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백화채, 양각채로도 불리며 뿌리는 한약재로 이질, 설사, 치질, 타박상, 아토피 피부염 등에 쓴다고 합니다



풍접초는 꽃말이 시기, 질투인데 이런 전설이 있습니다.

하늘나라의 선녀가 지상 구경을 왔다가 용모가 준수한 청년과 옷깃을 스치게 되었습니다.

하늘나라로 돌아간 선녀는 이 청년을 잊지 못해 시름시름 병들어 갔습니다. 보다 못한 친구 선녀가 청년과 스친 옷을 벗어버리라고 조언했습니다.

선녀가 벗어 던진 옷이 지상에 떨어진 자리에서 꽃이 피어났는데 이게 족두리꽃이라고 합니다.


족두리꽃, 나비꽃, 풍접초,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양귀비목 > 풍접초과 > 풍접초속
학명
Cleome spinosa Jacq.
개화기 : 9월, 8월
꽃색 : 자주색, 붉은색, 백색
꽃말 : 불안정
국내분포 : 전국(식재)
해외분포 : 열대 아메리카
서식지 : 화단
출처 : 자연박물관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꽃과 나무 사전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특징
풍접초', 원래 이름은 '클레오메'다. 우리나라가 고향은 아니지만 언제부터인가 우리 땅에 들어와 마을 어귀나 집 담장 밑에서 흔히 자란다. 꽃말이 '불안정'이다. 꽃이 만개하면 꽃송이가 무거워 꽃대가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자꾸 좌우로 넘어져 붙여진 꽃말인 듯 하다. 꽃이 매우 특이하며 꽃 주변에 자잘한 가시가 많이 나 있다.

기르기
일년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상록성의 넝쿨을 형성하는 것도 있다. 현재 국내에는 흔히 재배되지 않으며, 서양에서는 주로 일년생이 재배되고 있다. 봄에 씨앗을 뿌리면 무수히 개체들이 나온다.

이용방법
꽃은 8-9월에 홍자색 또는 백색으로 피는데, 키가 크고 곧으며 모양이 특이해 정원용으로 잘 어울리며 꽃을 잘라 꽃꽂이용으로도 쓸 수 있다.

 

풍접도(족두리꽃) 꽃말 : 시기와 질투, 불안정

파종시기: 실내: 3월경

실외: 4~6월경


분류 및 자생지
풍접초 집안에도 150종이 분포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초원이나 모래 등 물이 잘 빠지는 건조한 곳에서 널리 자생한다. 우리나라에는 자생하지 않는다.


기타 참고 링크
https://m.100.daum.net/encyclopedia/view/74XXXXX52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