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카와 디카의 세상구경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식물 자료/블루베리 얘기

[스크랩] 블루베리 번식방법 삽목

한아름정원 2011. 7. 25. 23:28

 
http://cafe.daum.net/8949xiangshun/fhXN/19 
//

 

블루베리는 기후조건에 맞는 적절한 품종만 선택하면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합니다.
햇볕이 잘 들고, 물 빠짐이 좋으며, 바람이 심하게 불지 않는 약산성( ph4~5)을 띈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주로 꺾꽂이를 통해 포트에서 키워진 블루베리묘목은
시기에 상관없이 아무 때나 옮겨심기가 가능하나 주로 가을이나 이른 봄에 이식하는데
가을에 이식하는 경우 뿌리활착이 빠르고 생장이 일찍 시작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추위에 약하고 겨울가뭄에 말라죽을 위험이 많으므로 주로 봄철에 이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혹시 진달래가 많이 서식하는 산에 가 보신 적이 있으신지요?
그곳을 유심히 살펴보면 진달래는 잘 자라는데 반해 다른 나무들과 풀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을 겁니다.
그 이유는 진달래가 산성토양을 좋아하는 나무이기 때문입니다.
진달래 과에 속하는 블루베리도 진달래와 같이 산성토양을 좋아 합니다.
또한, 블루베리는 일반작물과 달리 뿌리가 수염뿌리이면서도 수염 털을 가지고 있지 않아
수분을 붙잡아 두지 못합니다.
블루베리는  천근성으로 뿌리를 땅속 깊이 뻗지 못하고 지표면 가까이에 뿌리를 내립니다.
뿌리를 길게 뻗지도 못합니다.
그래서 가뭄피해를 당하면 쉽게 말라죽습니다.
블루베리는 이런 특성 때문에 물을 자주 주지만 결코 물을 좋아하는 작물은 아닙니다.
지나치면 배수불량으로 뿌리가 썩어 바로 고사할 수 있습니다.

 

 

1.  토질을 산성으로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피트모스입니다.
    블루베리는 피트모스를 사용해 토질을 개량해야 실패할 확률이 낮습니다.
    블루베리재배에 피트모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산도조절 뿐만 아니라 물을 가둬두는 성질이
    강해 보습성이 뛰어나고 유기질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피트모스를 사용 안하면 뿌리 발육이 더딥니다.
    피트모스를 사용하면 물 빠짐은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  묘목은 지역의 특성에 따라 선택해야합니다.
    주변에 블루베리 전문농장이 있으면 그곳에서 도움을 얻는 편이 좋습니다.
    다락골의 기후적 특성을 감안하여 추위에 강한 품종을 선택했습니다.

 

 

3.  두둑은 물 빠짐을 좋게 하기 위해 지면보다 높게 만듭니다.

    이랑사이의 넓이 2.5m 그루와 그루사이의 간격 1.5m 이것이 교본에 나온 이식간격입니다.

 

 

4.  50cm 너비로 삽 하나가 들어갈 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피트모스를 바닥에 수북이 깔아줍니다.

 

 

5.  피트모스가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물을 흠뻑 줍니다.

 

 

6.  묘목은 포트에서 조심스럽게 꺼내 뿌리에 붙은 흙덩어리가 흩어지지 않게
    그대로 심는 것이 실패가 적습니다.
    묘목 뿌리가 이식하는 사이에 마르지않도록 잘 관리하고
    묘목을 이식 후에는 뿌리가 건조하지 않도록 충분히 물을 주어야합니다.

 


7.  원래의 지표면보다 뿌리가 약간 높은 위치에 놓이게 심는 것이 좋습니다.

    구덩이에서 파낸 흙과 피트모스를 골고루 섞어 구덩이를 채웁니다.
 


8.  이식을 마친 후엔 솔잎이나 바크, 톱밥으로 나무주변과 두둑을 덮어주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함으로써 토양의 침식 방지하고,  PH 산도 유지, 지온상승방지,
    수분증발억제, 잡초방제 등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멀칭은 10cm이상 수북이 올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피트모스는 무게단위포장이 아니고, 부피단위포장입니다.
107리틀, 250리틀, 그리고 입자가 고운게 있고 거친것도 있으며 건식과 습식이 있습니다.
골프장 잔디용은 ph가 6.5정도로 높고, 블루베리 전용은 4.0~5.0정도로 낮습니다.
건식은 심을때 물배합을 잘 해야 하고 습식이 편리하며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사람이 고수]21세기 블루베리농원 이재윤씨

  • 거듭…수확까지 소요기간 절반 감축
    당도 높고 수확량 2배…재배 성공 모델로 입소문
    품종선택·토양산도·배수조절·무농약 재배가 비결


    전남 담양의 한 블루베리 농가가 과수 식재에서 수확까지 걸리는 시간을 절반으로 줄여 블루베리 성공모델로 떠올랐다.

    지난 2008년 4월 블루베리 재배를 시작한 21세기 블루베리농원의 이재윤(55), 성현(25) 부자가 그 주인공으로 식재한지 2년만에 한 나무당 2㎏의 블루베리를 수확했다.

    블루베리는 보통 심은지 4∼5년 가량이 지나면 수확이 가능하지만 이씨는 그 기간을 절반으로 줄인 것이다.

    올해 총 4t 가량의 블루베리를 수확할 것으로 예상되며, 과실 판매 매출만 1억5000만원에서 2억원 가량이 될 전망이다.

    이러한 소문이 블루베리 농가 사이에 퍼지면서 이씨의 집은 묘목을 구하기 위한 방문객들로 문전성시다.

    현재까지 1만5000주 가량의 블루베리 묘목이 타지 농민들에게 팔려나갔고, 이씨는 묘목 판매로 1억원 가량의 수익을 올렸다.

    이씨 부자가 강조하는 블루베리 재배의 성공비결은 크게 세 가지다.

    토양을 블루베리가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만드는 것이 첫번째다.

    블루베리 뿌리는 일반 과수나무와 달리 수염뿌리로 돼 있어 무엇보다 토양의 산도와 수분 조절이 중요하다.

    산도는 유황을 뿌려 PH 4.2∼5.5 정도로 맞춰 줄 수도 있지만 이씨는 '피트모스'라는 인공토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다.

    피트모스와 흙을 7:3 혹은 8:2 비율로 섞어 사용하면 블루베리 재배에 최적화된 산도를 얻을 수 있다.

    식재할 밭의 수분조절은 물이 아니라 토양의 밀도로 조절한다.

    대개 블루베리 농가에서 식재하기 전 한번 밭을 갈지만 이씨는 3∼4번 갈아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공간을 크게 늘리는 것이 비결이다.

    품종 선택도 중요하다. 이씨가 추천하는 품종은 노스랜드, 패트리오트, 블루걸드, 코빌, 브리기타 등 열매가 크고 당도가 높은 품종이다.
  • 블랙초크베리의 품종에 대하여 여러분들께 문의해보아도 직접 농사짓는분들,묘목판매해시는분들

    다들 제각기로 말씀하시고 어떤분은 실생은 시간낭비다 하시는분들도 계시고

    직접 외국에도 다녀보시고 연구하시는 교수님 말씀에 의하면 실생이 낮다는 말씀을 하고계시고

    여러모로 아로니아를 재배하는 사람으로서는 저의 주관데로 그냥 실생쪽으로 밀고나가려합니다.

     

    우리나라에 아로니아 들어온지 불과 몇년 되지않았을터인데 열매보신분들도 드물것이고

    설사 샵목이래도 1~3년키운 실생에서 전지해서 키운것일지도 모르는일입니다.

     

    그리고 혹시나 아로니아 묘목상중에 삽목 수입해 들어오신분 계시면 수입검역증서나

    수입경로가 확실하신분이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또한 묘목상에서는 그런 기본적인 근거자료없이 구두로만 외국에서 들여왔다하시는분들이 대부분인것고

    실수요자는 어디가서 확인조차 힘든 상황에 그냥 믿고 구입하는게 현실인것 같습니다.

     

     

     

    아래는 여기저기 자료를 찾아보던중에 그나마 확실한 정보일것같아 한번 올려봅니다.

     

     

     

     

     


    블랙초크베리는 식물분류학상 장미과, 아로니아속에 속합니다. 아로니아속 식물에는 블랙초크베리, 레드초크베리, 퍼플초크베리의 3가지 품종이 있습니다.

    [식물계통도] 

    소속 과명

    속명

    품종

    원예종

    장미과
    (배나무아과)

    아로니아속(Aronia)

    블랙초크베리(Aronia melanocarpa (Michx.) Elliott )

    아로니아 3품종간 교배 육종 ; 네로, 바이킹 등

    레드초크베리(Aronia arbutifolia (L.) Pers. )

    퍼플초크베리(Aronia prunifolia )

     

    1. 블랙초크베리
        블랙초크베리는 1종의 원종이 있으며 학명이 Aronia melanocarpa (Michx.) 이며 통상 블랙초크베리로 부릅니다.

    즉 교배나 형질 변경없는 원래의 품종입니다. 열매의 성분에 대한 연구는 이 원종에 근거한것입니다.

    그러므로 열매의 성분을 이용하려는 목적이라면 블랙초크베리를 선택하십시요.


    2. 원예품종
       시중에 블랙초크베리 바이킹, 블랙초크베리 네로 등으로 유통되고 있으나 명확한 의미에서

    블랙초크베리로 분류하기 어려운 원예품종으로 퍼플초크베리와 블랙초크베리 또는 레드초크베리간 교배하여 육종된 원예품종입니다. 

    학명에서도 Aronia x prunifolia "viking"과 같이 사용되며 "아로니아 바이킹", "아로니아 네로"로 부르는것이 맞습니다.

    열매의 성분에 대한 보고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블랙초크베리에는 1개의 품종만 존재하며 많은 보고서에서 열매의 기능성을 연구한 기준 식물은

    아로니아 네로,아로니아 바이킹등 원예품종이 아닌 블랙초크베리 원종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중에는 생과로 먹기 힘들 정도로 당도가 떨어지는 품종도 유통되고 있다.

    끝으로 이씨는 무농약 재배를 빠른 수확의 비결로 꼽았다.

    당 성분 때문에 진딧물이 꼬이게 되는데 농약을 쓰는 것보다 무당벌레를 이용하는 편이 수확량도 많아진다고 전했다.

    이씨는 "토양관리, 품종선택, 무농약 재배라는 3원칙만 지키면 누구나 블루베리로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 향기나는 작은집,,^^*
글쓴이 : 통이엄마 원글보기
메모 :

 

 

 

 

 

^^ 블루베리 잘 살수 있도록 심는 방법 입니다.